본문 바로가기
#레인보우 마인드/간단하고 신박하게 육아비법서

유튜브 대신 책 보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by 우주의오로라 2025. 3. 7.
반응형

"아침에 눈 뜨자마자 책 보는 아이"

 은 아이들의 성장미래의 성공을 위한 아주 중요한 요소 입니다. 책은 다양한 감정을 배우기도, 몰랐던 지식들도 습득하는 굉장히 좋은 도구이죠. 하지만 아이들이 책을 스스로 읽고, 책을 가까이 하기까지 부모님들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요즘 아이들은 스마트폰이 활성화 되다 보니 유튜브와 같은 각종 미디어 노출로 인해 주변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사례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이렇게 넘쳐나는 미디어 노출 속에서 저희부부도 아이들이 유튜브 대신 책을 좋아하게 만들기 까지 굉장히 많은 노력을 했어요.  요즘 테블릿pc나 스마트폰으로도 책을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지만 앞서 말씀드린 대로 미디어 노출 보다는 직접적으로 책을 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에 많은 노력을 했답니다.아무래도 미디어 독서는 도파민 중독에 있어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고 판단 했기 때문에, 아이가 조금이나마 종이의 질감을 느끼며 활자 그대로를 눈으로 마음으로 천천히 읽어 내려가는 시간을 갖게 하고 싶었거든요.

 그러면 책을 가까이 하는 아이로 성장 시키기 위해 부모님이 신경 써주시면 좋을 것 같은 몇가지를 천천히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1. 책이 일상에 스며들게 하기 (중요)

 아이들이 책을 일상에서 스며들게 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1. 책을 집안 곳곳에
  2. 아이 손에 쉽게 다을 수 있고
  3. 잘 보이는 곳에 책을 배치

해야 하며, 아이의 시야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배치를 한다면 아이는 스스로 책을 보기가 힘들 수도 있어요. 저희 같은 경우에는 거실과 아이 놀이방, 그리고 침실 어디든 책을 배치해 놓아 스스로 책을 볼 수 있도록 했어요.

거실 메인 자리에 아이가 스스로 책을 배치 합니다^^
놀이방 책장

2. 부모가 먼저 책 읽는 모습 보여주기

 사실 저희 부부도 과거에는 책을  즐기지 않는 부부 였어요. 예전에는 책을 읽기 보다는 유튜브,SNS만 들여다 보던 저희 부부가 책을 읽기 시작한 계기는 오로라의 외삼촌께서 퇴직 후 그동안 읽고 싶으셨던 책들을 매일같이 원없이 읽으신다는 이야기를 우연히 듣게 되었는데 어느날 정말 읽고 싶으셨던 책을 주문하시고 실물을 보셨는데 그 책이 두꺼워도 너무 두껍더랍니다. 순간 당황을 하실정도로 말이죠. 그런데 당황하신것도 잠시  '아니, 내가 까짓거 이거 책 한권 못읽겠어?' 라는 생각으로 꾸준히 읽으셔서 일주일 만에 완독을 하셨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죠. 그러시면서

"책을 읽게 되면 정말 삶이 변한다. 정말 하루에 한쪽이라도 한 줄이라도 한번 읽어봐라. 아니다. 이왕 읽는거 이 늙은 삼촌도 저 두꺼운 책을 일주일만에 읽는데, 젊은 니네들은 책 한권이 얼마나 된다고 그걸 못읽어.까짓거 한달에 한권 못읽겠어? 읽어봐.꼭!"

 부끄러운 이야기 이지만 그 당시 저희 부부는하루가 멀다하고 서로  감정싸움을 하고, 피폐해지는 생활에 있어서 서로가 삶에 변화를 간절히 느끼고 있던 시점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말을 듣자마자  "그래 우리도 한번 해볼 수 있지 않을까? 믿져야 본전으로 한번 읽어볼래?" 라고 시작해 ,각자 서점에서 책을 한권씩 골라 열흘만에 누가 먼저 읽나 내기를 시작 했었습니다. 내기로 시작 했던 첫 책읽기가 5일만에 끝나고 (서로가 책을 다 읽었어요). 서로가 산 책을 바꿔 읽고, 열흘이란 기간을 일주일로 다시 고치고 그렇게 서로 책을 사고 바꿔 읽기 시작한게 어느덧 4년차가 되어 갑니다. 이제는 기간은 무의미 해졌구요. 3일만에 다 읽기도 하니까요. 그렇게 감정 싸움을 하대던 저희 부부 어떻게 됐냐구요? 서로 같은 책을 읽고 대화를 나누면서 각자의 생각차이를 이해 하게 되었고 자연스레 대화가 많아지니 대화하는 방법을 맞추는법을 알게 된거 같구요, 또 멘토가 같아지니 자연스레 감정을 대화로 풀어나가며 인간이 되었습니다.정말 삶 자체가 달라요. 삶의 질이 다릅니다. 저희 부부의 삶은 책을 읽기전과 책을 읽은 후로 나눌 수 있습니다.이러니 아이들에게 책읽는 환경을 조성 안할 수가 있겠냐구요. 저희가 처음 2021년도 부터 책을 읽기 시작했고요.지금은 거의 100권이 넘는 책을 저희 부부가 읽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읽기 쉬운 추리 소설이나 에세이로 시작했으나 점점 책에 흥미가 생겨 철학,자기개발,주식,부동산 등등 .. 장르는 구분하지 않고 그때 그때 상황이나 감정따라 끌리는 책을 구입해 읽고 있습니다.

3. 아이와 함께 책 읽는 시간 만들기

 아이는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을 굉장히 필요로 하며 좋아합니다. 부모님은 조금 바쁘시더라도 아이와 함께 책 읽는 시간을 자주 만들어 주면 좋을 것 같아요. 책 스스로 읽는 아이로 키우기 위해선 부모님의 노력이 꼭 필요합니다. 하지만 절대 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 있어요.. 그건 바로 아이에겐 '책 읽을 시간이다' 라고 하며 부모님들께선 거실이나 침실에서 TV를 보신다던지 핸드폰으로 유튜브, SNS를 하시는 행동들은 절대! 자재 해야합니다.  아이와 함께 동참하여 책을 읽어주세요.

 정..힘드시면.. 책 사이에 휴대폰 끼워서 소리없이 화면보기 신공이라도....이런 노력도 없다면 유튜브보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기는...힘들것 같습니다.

반응형

2023년 / 아이가 꼭 책을 읽는게 아니더라도 책을 갖고 흥미를 보일땐 격한 칭찬 아끼지 말아주세요!!

피곤하지만 아이가 읽어달라면 읽어준다!

4. 책 읽어라 ! 강요하지 않기

 조금 의아하죠? 책을 읽는 아이로 키우고 싶은데 책을 읽어라 강요하지 않는다뇨..? 하지만 말 그대로 '강요'를 하시면 안됩니다. 강요를 하다보면 아이들이 책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어요.. 아이들이 자유롭게 책을 고르고 읽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책과 관련된 놀이 접목하기

 아이와 책을 읽으며, 아니면 책을 읽고난 후에 놀이로 접목하기를 하면 아이가 책에 대한 흥미가 상당히 많이 생깁니다. 저희같은 경우는 '호랑이와 팥죽할멈'이란 책을 읽고는 팥죽을 함께 끓여 본다던지  '너는 어떤 씨앗이니? 라는 책을 읽은 후에 씨앗을 직접 심어보는 놀이를 하니 아이가 정말 좋아하고 다음엔 어떤 책을 읽어보지 라는 기대감을 가지더라고요. 꼭 한번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유치원에서 딸기 체험을 다녀온 날이면, 딸기 책을 가장 잘 보이는 자리에다 배치해 놓습니다. 일부러 거실 한가운데 흐트러 놓기도 하고요. 자연스레 오늘 경험한것을 책으로 다시한번 경험안에 자리잡게 말이죠! 놀이가 힘드시면 이런식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6. 책을 읽고 아이와 생각과 감정을 함께 대화 해보기

 아이가 책을 다 읽고나면 질문 해보세요 "이 이야기에선 어떤 부분이 가장 재밌었던 장면이 뭐야?"  이 짧은 질문의 한마디가 아이의 생각 주머니가 커지며 책에 대한 집중도를 높힙니다. 그리고 아이의 자존감과 자심감도 상승 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요 .

 위와 같이 스스로 책읽는 아이로 키우기 위한 부모님들의 역활들을 한번 알아봤는데 사실 굉장히 간단하지만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언제나 아이 위주로 생각하다보니 부모님들께선 여유가 없을 수 도 있어 힘들겠지만 한번 아이가 좋은 습관을 들인다면 아이의 미래에 큰 도움을 줄거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이글을 쓰며 모든 부모님들께 말씀드리고픈 생각나는 구절이 있네요!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
습관이 바뀌면 성격이 바뀌고,
성격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옷깃만 스쳐도 전생에 인연이 있었다고 하죠.

하물며 디지털 정보화가 넘치는 과부화시대에 친히 시간을 내주신 당신과는 전생에 무슨 인연이 있었을까요?

소중한 인연으로 ❤️공감 꾸-욱. 😊구독 꾸-욱 해주시면 다음 포스팅으로 행복한 에너지 전할게요!


SUBSCRIBE FOR DREAMS COME TRUE❤️

🌕YOUTUBE : https://www.youtube.com/@AuroraofCosmos

 

우주의오로라 Aurora of Cosmos

하고싶은거 하며 재미있게 사는 가족이야기 :) 우당탕탕! 좌충우돌! 조금은 어설프면 어때요? 누구에겐 용기를. 누구에겐 희망을. 누군가에겐 웃음을. 우리만의 리듬으로 행복을 여행 중 입니다.

www.youtube.com

 

반응형